서울대 도서관 친구들 기부내역 본문으로 이동

콘텐츠 시작 go top

변화의 기록

커튼 월(건물외벽) Mock-up test 결과

등록일 2014-03-05 조회수 8773


신축TF팀은 지난 달 2월 6일 목요일에 관정도서관 외벽을 구성할 커튼 월(Curtain wall)의 Mock-up 테스트 현장(충남 서산)을 다녀왔는데요, 지난 2월말에 테스트에 대한 결과가 나와 알려드립니다. Mock-up test는 실물모형을 설치해서 건축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외부 환경 변화와 구조적인 문제를 진단하는 시험입니다.


여러 가지 다양한 시험을 했습니다만 그 중 중요한 시험은 결로시험, 전동창 시험, 기밀 및 수밀시험, 구조•지진시험 등입니다.


결로 성능 시험에서는 온습도 조건을 외부 온도 –13℃±3℃, 내부 온도 24℃±3℃, 내부습도 45%±5%의 조건에서 하고 16개 지점에 센서를 설치하여 내부 표면에 습기막이 형성되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것인데요, 테스트한 결과 Steel, 알루미늄, 유리 표면에 습기막의 형성 흔적이 없어 매우 양호한 상태라고 합니다. 다만 유리 고정 몰딩 표면에 미미한 습기막 형성이 보였으나 큰 문제는 없다고 하네요.

개폐창 작동 시험(전동창)에서는 창호를 5회 개폐 작동하고 닫힘 상태를 점검하였는데 이상 없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습니다.




기밀 시험에서는 표준 이상의 기압을 가해 창호의 누기량을 측정하는 테스트로 요구 성능에 만족하는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정압 수밀 시험에서는 외부에서 물뿌림으로 누수를 측정하는 테스트로 구조물 전체에 누수 없이 시험을 마쳤다고 합니다.




구조 및 지진 시험에서는 Steel, 판넬, 유리 등 모든 부재의 구조성능이 허용 기준을 충족하고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고 합니다. 즉 구조적인 문제는 없는 것이지요.

커튼월 성능 시험은 결로, 기밀, 수밀, 구조성능 시험에서 우수한 결과를 산출하여 요구 조건에 모두 충족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실제 물량 공사에서도 Mock-up 시험에서 사용된 부재와 설치에서 실시된 사항들을 준수하여 우수한 품질이 확보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커튼월 성능 시험 결과에 따른 검토와 보완이 필요한 사항이 남아 있는데요. 알루미늄 및 Steel Flame의 열팽창, 슬라브 처짐 등을 흡수하기 위해 설계된 결합 부위의 고정방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알루미늄과 유리의 접합 부위에 틈새가 생길 우려가 있어, 틈새가 생길 경우 실내 습기가 침투하여 유리 표면에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네요.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접합 부위가 철저하게 마감될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합니다. 창문 개폐 전동기기의 경우도 스위치 버튼이 방충망 안에 설치되어 있어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설치를 고려해야 하며 창문 개개의 개별 개폐 스위치에 대한 필요 여부는 재검토해야 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내부 석도보드도 마감 시 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관정도서관의 외벽의 구조 디자인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관정도서관의 외벽이 다른 건물보다 독특하고 복잡한 형태로 설계되어 시공상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시험 결과가 만족스럽게 나와 다행이고 그만큼 우리 도서관이 더욱 멋진 건물로 지어질 것이라고 기대해봅니다.